본문 바로가기

경제 기초

(4)
투자의 기초-투자의 가치, 투자수익률 투자의 기초 1. 투자의 가치 투자란 미래에 긍정적인 이익이 발생하길 바라며, 불확실성을 무릅쓰고 경제적 가치가 있는자산을 운용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저금리가 고착화되기 시작하면서 낮은 수익률을 보이는 저축보다는 어느 정도 리스크를 감당하더라도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투자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2000년대에 들어서기 전까지는 은행의 정기예금 금리가 평균 12% 전후였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1%대로 떨어졌다. 이러한 지속적인 저금리는 저축을 통해 목돈을 모으는 것을 어렵게 하고, 모은 돈으로 노후생활을 유지하는 것을 힘들게 만든다. 이 때문에 자금운용 수익률을 조금이라도 높이기 위해 기인들도 투자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투자와 투기 투자는 개인이 자산..
주요 금융지표-주가 주요금융지표-주가 주식과 주식시장 주식은 주식회사가 자본금 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증권으로, 주식시장은 시장 경제의 꽃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들은 주식시장을 통해서 대규모 자금을 조달할 수 있고 개인들은 여유자금의 투자기회를 찾을 수 있다. 주식시장이 없다면 기업들은 수많은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조달하거나 다른 기업들의 인수합병을 통하여 성장하는 기회를 가질 수 없다. 주식시장은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으로 구분된다. 발행시장은 기업공개(IPO)나 유상증자를 통해 주식이 발행되는 시장이고, 유통시장은 발행 이후 거래가 일어나는 시장이다. 우리나라의 주식 유통시장은 크게 유가증권시장(KOSPI MARKET), 코스닥(KOSDAQ)시장, 코넥스(KONEX)시장이 있다. 주가지수와 경기변동 주식시장에는 다양한 종모..
금융지표-환율 금융지표-환율 국가 간 화폐의 교환비율을 환율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외국 화폐 1단위에 상응하는 원화 가격을 환율로 표시하는 자국통화표시법을 이용하고 있다.(예: 1달러 환율이 1,000원) 환율이 상승한다는 것은 화폐 즉, 우리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 따라서 환율이 상승하면 원화가치가 하락하고, 환율이 하락하면 원화가치가 올라간다. (환율상승= 원화약세, 환율하락=원화강세) 1. 환율의 결정과 변동 환율은 우리나라 원화와 다른 통화간의 교환비율로서 외화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외환시장에서 결정된다. 외화의 수요는 상품 및 서비스 수입, 자본유출, 내국인의 해외투자, 내국인의 해외여행 등에서 발생하고, 외화 공급은 상품 및 서비스의 수출, 자본 유입, 외국인의 국내투자, 외국인의 국내여행 등에..
주요 금융지표-금리(이자율) 주요 금융지표-금리(이자율) 일상생활 속에서 우리는 여유자금을 금융회사에 저축하거나 투자하고 반대로 돈이 부족하면 대출을 받기도 한다. 이때 돈을 빌린 사람이 일정기간 도을 사용한 대가로 돈을 빌려준 금융회사에 지급하는 것을 이자라고 하며, 기간당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을 이자율 또는 금리라고 한다. 이자의 크기는 기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자율을 표시할 때는 기간을 명시하게 되는데, 보통 1년을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이자율 5%로 1년간 100만원을 대출받는다고 하면, 돈을 빌린 채무자는 채권자에게 5만원의 이자를 지급해야 한다. 1. 금리의 결정 상품시장에서 상품의 가격이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원리와 마찬가지로 금리도 금융시장에서 자금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자금에 대한 수..